줄거리:
2016년 대한민국, 정체불명의, 바이러스가 급속히 확산되고 사회는 혼란에 빠집니다. 서울에서. 부산으로 향하는 KTX 열차에 탑승한 석우와 그의 딸 성경 역시 이 바이러스의 위협에 직면하게 됩니다.
바이러스가 퍼지기 직전 부산으로 향하는 열차에 탑승한 시민들 사이에 이미 감염된 소녀가 탑승을 했습니다. 열차내에도 순식간에 감염자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기차를 타기위해 역에서 기다리고 있던 수많은 사람들이 태워달라면서 열차를 타기 위해 몸부림치는 상황 때문에 첫 번째 역인 천안아산역을 무정차 통과한다는 안내방송을 합니다.
탑승한 승객들은 밖의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는 것을 인지하게 됩니다. 군인 연줄이 있었던 석우는 자신과 딸을 안전하게 대피시켜 달라고 부탁합니다.
석우는 엉망진창이 된 부산행 열차 안에서 딸 수안을 지키기위해 대전역에서 하차합니다.
어차피 대한민국 전체가 바이러스가 확산된 상황이라, 이미 대전역에 방어를 맡고 있던 전력들은 좀비화가 된 상태였습니다.
위험한 상황에 노출된 석우와 수안은 윤상화의 도움으로 존비의 위험으로부터 살아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다음역인 대구도 상황은 다르지 않았습니다.
상화는 만삭의 아내 성경과 뱃속의 내 아이를 위해 한 몸 바치겠다는 정신으로 석우 또한 딸 수안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필사적으로 싸우게 됩니다.
하지만 상황은 점점 악화되고,석우는 다른 승객들과 함께 살아남기 위한 선택을 해야 합니다. 사회적 약자에 대한 차별, 이기심, 권력욕 등 인간의 어두운 면모가 드러나는 와중에 석우는 희망과 용기를 잃지 않고 딸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주요 등장인물:
석우:펀드매니저로 일하며 딸 성경과 함께 부산으로 향하는 중 좀비 아포칼립스에 휘말립니다. 딸을. 지키기 위해 용감하게 맞서 싸우는 아버지 역할을 합니다.
성경:석우의 딸로, 순수하고, 밝은 성격을 지녔습니다. 아버지와. 함께 위기를 극복하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상화:석우의 아내이자 성경의 어머니입니다. 좀비로. 변해 석우와 성경에게 위협이 됩니다.
용석:열차의 운전사로, 책임감, 있고 의리 있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기영숙:석우와 반목하는 승객으로, 이기적이고, 냉혹한 성격을 지녔습니다.
창석:기영숙의 아들로, 약하고, 겁 많은 모습을 보이지만 점차 성장합니다.
수안:창석의 동생으로, 순수하고, 용감한 모습을 보여줍니다.
결말:
살아남아 기관차를 통해 부산까지 내려가는 성경과 수안 창밖으로 펼쳐지는 시골 풍경이 아무 일 없었다는 듯이 한적한 모습입니다. 하지만 주변 강가에 방치된 시체로 보이고 시골 의상을 입고 있는 걸 보면 감염이 없던 것은 아니었던 거 같습니다.
그리고 터널 건너편에서 도시가 조금 보이는데, 그곳은 연기 하나 안 나는 한산한 도시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터널 앞에 타버린 민간인과 군인들의 시체와 함께 철조망과 바리케이드로 막혀있어 기관차가 지나갈수 없는 상황이어서 정지시키고 내린 성경과 수안은 그리 유쾌하지 못한 주변 풍경을 마주하게 됩니다.
그리고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터널로 진입합니다. 건너편에 사수중인 군인들이 실탄을 보유한 채 대기하고 있고, 그뒤에는 여러 군수물자를 나르는 다른 많은 군인들과, 컨테이너를 높이 쌓아 방어선을 철저하게 만들어 놓은 모습에 눈에 들어옵니다.
한편 터널 반대편에서 건너편을 주시하다가 신원불명의 두 명이 이쪽으로 걸어오는 걸 확인한 두 명의 병사들은 무전으로 상황 보고하고는 "감염 여부를 확인하라"라는 지시를 받고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터널 안에 어떠한 불빛도 없었기에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는 없는 상황입니다.
그저 "육안으로 식별하기가 불가능하다"라고만 보고를 하게 됩니다. 지체없이"사살하라"라는 명령이 내려지고, 방아쇠에 손가락을 대고 성경의 머리를 향해 총을 쏠지 말지 주저하며 고민하던 중, 수안이 터널 속에서 학예회 때 불렀던 노랫소리가 아빠를 생각하는 듯 애처롭게 울려 퍼집니다..
초병은 방아쇠에서 손을 떼고"생존자 접근 중!"이라고 외쳐 줍니다. 그리고 수안과 성경을 구해주려 군인들이 터널로 들어가는 모습이 보이고 마지막으로 영화가 끝이 납니다.
임산부와 아이라는 노약자 신분의 소재로 그들을 구해야 한다는 마음으로 영화를 봐서인지 매우 감명 깊고 애절한 마음으로 보았습니다. 간만에 느낄 수 없었던 아빠의 가족애에 대한 영화인지라 안 보신 분을 위해 꼭 추천드리고 싶은 영화이기도 합니다.